팔봉지맥 산줄기 이어걷기 세번째(백산육교~합수점)구간이다
이번 구간도 비산비야 낮은 구릉지와 많은 도로 묘지를 건너는 곳이다
그러나 지맥은 지맥인지라 최대한 앱을 따라서 진행 할려고 노력 하였다
다만 잠시 올라 내려서는 구간은 생략하고 도로를 그냥 따르기도 하였다
그러나 개발로 인하여 맥길은 끊어져 버리고 지맥길에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몇군데 잡목 가시들이 있어 전지가위를 이용하여 길을 만들면서 지나간다
마지막 날머리 근처에는 새로운 도로가 뚫리고 해서 공사중인 관계자가 나타나
돌아가라 하기애 갈수 없다며 버티다가 무작정 진행 하기도 했다
이 구간도 이제 개발의 논리로 마루금은 산줄기는 찾지 못한 구간이 더러 있다
그래도 끝까지 이어가서 금강/미호천이 만나는 곳에서 팔봉지맥 이란 이름으로 마무리 한다...
[팔봉지맥]
팔봉지맥은 속리산 천황봉에서 안성 칠장산으로 이어지는 한남금북정맥이
구룡산과 571번 지방도를 지난 530m봉 (보은군 회북면 쌍암리와 내북면 법주리 및 청원군 가덕면
내암리의 경계점)에서 서남과 서북 및 남서와 동남 방향으로 가지를 쳐 충남 연기군 동면의 금강으로 이어지는
실거리 54km의 산줄기로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황우산에서그 맥을 금강에 넘겨주고 있다.
△ (05:56) 충북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구암리 청주시 흥덕구 현암동을 잇는 백산육교 근처에서
팔봉지맥 산줄기 세번째 이어가고 날씨는 구름이 많은 아침이다
모든 준비를 하고 이제 도로를 따라서 청주성신학교 정문으로 진행 합니다...
◎산행지:충북 청주시/세종시(일원)
◎언제:2021.09.04일/토(맑음)
◎누구와:대구지맥클럽
◎산행거리:24.62km마봉산왕복(900m포함) (오룩스맵)
◎산행시간:08시간16분
◈주요산행기점시간
☞백산육교:05시56분
☞도고머리고개:06시33분
☞x113.2봉△:07시11분
☞큰골고개(594번도로):07시24분
☞연정고개:07시42분
☞x205.7(은적산):07시56분
☞유두고개:08시28분
☞x175.7(망덕산):08시47분
☞x167.5(학천산):08시58분
☞신촌고개:09시11분
☞x173.3(마봉산):09시37분
☞당곡고개:10시11분
☞노송고개:10시20분
☞x94.0봉:10시25분
☞샘재:10시36분
☞x92.4봉:11시13분
☞노곡고개:11시15분
☞용합삼거리:11시49분
☞윗덕고개:12시16분
☞x148.9(출동산):12시35분
☞96번도로:12시52분
☞x96.4봉:13시01분
☞x50.7봉:13시58분
☞합수점(금강/미호천):14시12분
△ 청주성신학교 정문에서 우측 학교 울타리를 따라 절개지로 오른다
조금 오르니 수풀이 우겨진 곳을 통과하니 이슬이 많아서 신발 옷을 젖어 버리고...
△ 수풀을 벗어나 조금 내려서니 수렛길을 만나고 좌측으로 늘푸른아동원 검물을 끼고 지나간다
바닥에 밤이 떨어져 있고 몇개 주워서 가고 이제 등로는 좋은 편이다...
△ 늘푸른 아동원 옆에는 소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꽃들도 피어 있다
정자도 보이고 모과나무에 큼직한 열매들이 주렁 주렁 달려 있다
수세미 터널도 지나고 호박들이 누렇게 익어 있어 호박죽 생각이 난다...
△ 터널을 지나 우측으로 넓은 공터를 지나 다시 풀이 우겨진 숲속으로 들어 간다
희미한 수렛길이 나타나고 먼저간 비실이 회장님 띠지를 만나고...
△ 좌측으로 청주시 흥덕구 현암동 방향 전원 주택지도 보이고...
△ 시멘트 도로를 만나서 직진 산줄기는 빙 돌아서 내려서지만 앱을 따라 오르고...
△ 수풀이 우겨져 있고 힘들게 탈출하니 다시 인삼밭을 지나서 진행하고
여기도 수풀에 이슬이 많아서 이제 바지는 이제 완전히 젖어 버리고 도로에 내려선다
이제 도로에서 좌측으로 진행하고 조금 지나면 도로 삼거리에서 우측이다...
△ 좌측에 농장인지 공장인지 건물이 보이고 조금 지나 우측으로 들어 간다
밭으로 가는 등로 그래도 길이 뚜렷하고 대나무 숲도 만난다...
△ 대나무 숲을 지나 이제 앱을 따라 진행 할려고 하니 도저히 뚫을 수가 없다
등로도 보이지 않고 대나무 숲으로는 한치의 틈도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마을 방향으로 해서 약간 지름길로 진행 하기로 한다...
△ 마을 사잇길로 지나가고 현암교회도 보이고...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신전동 현암동을 잇는 고갯마루에 도착 합니다
좌측 묘지로 이어지는 수렛길을 따라서 오르니 이동통신탑이 보이고...
△ 우측으로 해는 저만치 떠올라 있고 아직 하늘에는 구름이 많다
우측으로 밭 그물망 울타리가 쳐져 있고 등로에는 잡풀들이 많이 자라고 있다
조금 오르니 묵은 묘지가 나타나고 묘지를 지나니 뚜렷한 편안한 등로가 이어진다...
△ 좌측으로 시야가 트이니 충북 청주시 현암동 마을이 조망되고...
△ (06:33) 충북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 현암동을 잇는 도고머리 고개에 내려선다
1차선 포장도로이며 길건너 전주가 있는 곳으로 다시 산줄기를 이어 갑니다...
△ 숲으로 오르니 울타리 식재된 나무 아래에 묘지가 자리 잡고 있고...
△ 무명봉에 오르니 x110.9봉 갈림길 동네 산책로 이다
프라스틱 의자도 보이고 부채도 보이고 전형적인 동네 뒷산이다...
△ 묘지 사잇길로 내려서 이 산줄기에도 많은 묘지들이 있다...
△ 좌측으로 조망이 트이니 충북 흥덕구 현암동 현암 마을이 조망되고...
△ 갑자기 등로는 좌측 9시 방향으로 내려서고 바닥에 비닐이 많이 깔려 있다
우측에는 누운 나무 기둥도 보이고 기둥 아래에는 굴처럼 파여 있고 무슨 용도인지 궁금증을 자아 낸다
조금 내려서니 고구마가 심어져 있고 비닐 하우스 농기계 보관 창고 사이로 지나간다
지금은 아무도 없어서 다행이지만 수확철에는 힘들것 같다
사잇길을 지나 좌측 대문을 열고 밖으로 나간다...
△ 비포장 수렛길을 만나 우측으로 조금 내려서서 묘지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오른다
벌초하는 사람이 보이고 옆으로 지나가서 숲 절개지에 올라 우측으로 내려선다...
△ 우측으로 조금 내려 섰다가 약간의 둔덕을 오르니 나무에 독도님 격려의 코팅 산패도 보이고...
△ 비포장 임도를 만나고 알밤이 떨어져 있어 몇개 주워서 가고
숲속으로 들어가서 작은 둔덕에 올라 내려서니 누워 있는 비석이 있는 묘지를 지나고...
△ 우측으로 그물망 울타리 사유지 고사리 재배지 안내판도 보이고...
△ 비포장 임도를 만나 바로 직진 이지만 수풀이 많이 우겨져 있는 곳이 보인다
큰 특징도 없고 해서 오늘 처음 우측 도로를 따라서 진행 하기로 합니다...
△ 사거리 시멘트 도로를 만나고 좌.우측 도로는 지도상 없는 신설 도로 이다
계속 직진 약간의 오르막을 오르니 좌측으로는 가드레일이 설치 되어 있다
농사용 수로가 보이고 지금은 물이 흐르지 않고 있다...
△ 사거리 시멘트 도로를 만나 좌측 공중 수로를 지나 바로 숲으로 오른다
여기는 잡목 산초나무들이 자라고 있어 약간 힘들게 올라 탈출 한다...
△ 잠시 등로는 편안하게 이어지다가 약간의 둔덕을 오르고...
△ (07:11) 4등 삼각점 백두사랑산악회 산패가 있는 x113.2봉이다
먼저간 대구지맥 선답자 띠지도 보이고 나도 나란히 걸어 둔다
지맥길은 우측 3시 방향으로 내려서면 되고 등로는 양호 하다...
△ 호젓한 소나무 숲길을 지나고 좌측으로 시야가 트이니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연정리 큰골/연정
마을이 펼쳐지고 작은 구릉지 산들이 많이 보이고 저수조 탱크도 지나고...
△ (07:24)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궁현리 연정리를 잇는 2차선 도로인 큰골고개에 내려선다
인근에 큰골마을이 있으며 제법 차량이 다니고 594번 지방도이다
인근에 경부고속철도가 지나고 언덕배기에 연궁교회가 자리잡고 있다...
△ 연궁교회 아래로 이어지는 묘지 방향으로 언덕배기에 올라 내려서니 하우스가 보인다
지맥길은 하우스 단지 사이로 지나 전원주택지 방향 울타리 방향이다
그러나 비온뒤라 땅이 질퍽 거리고 해서 우측 논으로 이어지는 곳으로 해서 논뚝으로 빙 돌아 간다...
△ 전원주택지 대문앞에 오르고 올바른 지맥길에 조우하고 우측 철망이 있는 대문 안으로 들어 간다
묵은 농장이며 지금은 잡초들이 자라고 있고 거미줄이 많아서 은근히 힘들다
철망이 있어 밖으로 나가지 못하면 어떻하지 했는데 마지막 코너에서 밖으로 나가는 작은 문이 있다
문이 잠겨 있지 않고 해서 쉽게 나가고 이제 등로도 무척 좋다...
△ (07:42) 좌.우 철망 울타리가 있는 청주시 강내면 궁현리 연정리를 잇는 연정고개를 지난다
동물이동통로처럼 보이고 아래에는 도로이며 등로는 계속 편안하게 이어진다...
△ 계속 등로는 편안하게 이어지고 우측으로 묘지가 보이고 묘지 뒷쪽에 오른다
우측으로 조망이 확 트이고 아스라히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이 조망되고
무명봉 아래에는 경부고속철도 궁현터널 위를 지난다...
△ 은적산으로 이어지는 아스팔트 도로를 만나고...
△ 장승이 있는 바로 뒷쪽이 은적산 정상부 그러나 오르는 등로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꾸불 꾸불 도로를 따라서 은적산으로 오른다...
△ (07:56) 단군성전 동상도 보이고 은적산으로 오를려고 하니 지금 공사 중이다
그래서 은적산을 오르지 못하고 단군성전을 둘려 본다...
단군성전
충북 청주시 은적산 정상에 있는 단군 사당으로 1968년 지어져 단군의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있다
1986년 이후 음력 3월15일에 어천제, 개천절에 개천대제의 제사를 올린다.
홍살문을 지나면 외삼문에 倍達門(배달문) 현판이 있고 그 옆에는 팔각정 이화정이 위치한다
그 앞쪽으로 내삼문에 弘益門(홍익문) 현판이 걸려있으며 그 옆에 단군동상이 있다.
내삼문 안쪽에 정면3칸 측면2칸의 맞배지붕으로 지어진 단군성전이 위치하며
성전 뒤로는 단군의 가묘가 조성되어 있다
청주시 각종행사때 성화 채화가 이루어지는 명소이다.
출처: 두산백과 두피디아[네이버 지식백과]
△ 이화정 정자에 오르니 멋진 풍광이 펼쳐지고 호남고속철도도 보이고...
△ 단군성전을 한바뀌 휙 돌아서 내려서고 대추가 익어가는 가을이 저만치 오고 있고...
△ 말끔하게 벌초한 묘지 방향으로 내려서서 숲으로 들어가서 조금 내려서니 길이 보이지 않는다
앱을 따라 내려서지만 잡목 산초 가시들이 있어 전지 가위를 이용하고 힘겹게 탈출한다
거미줄 가시 정말 이런곳은 개고생 하기 마련이다...
△ 묘지를 만나면서 한숨 돌리고 이제 파란 하늘이 너무나 아름다운 하루이다...
△ 녹쓴 대문을 통과하고 아니간듯 표시 없이 흔적을 안 남기고 지나가고...
△ (08:28)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저산리 궁현리를 잇는 2차선 도로인 유두고개에 내려선다
도로를 건너서 바로 숲으로 오르고 숲으로 오르니 관리가 잘 되지 않는 과수원 이다...
△ 오래된 2층 개집도 보이고 옥수수가 심어져 수확한 밭을 지나 숲으로 들어가고...
△ 숲으로 들어가니 약간 희미한 등로를 따라 오르니 좌측으로 오르는 등로와 조우 한다
이제 등로는 뚜렷하고 약간의 둔덕을 오르고 오늘 정말 비산비야 능선이다...
△ (08:47) 준.희님 산패가 있는 x175.7(망덕산)에 오르고 사진 한장 남겨 본다
모처럼 모두 쉬어서 가고 물도 마시고 가져온 과일도 먹고 한다...
△ (08:58) 망덕산을 지나 약간 내려 섰다가 작은 둔덕을 오르니 x167.5(학천산)이다
백두사랑산악회 노란 산패도 보이고 많은 선답자 띠지들도 보인다
군삼각점인가 no/013 삼각점도 보이고 지맥길은 우측 3시 방향으로 내려선다...
△ 학천산을 내려서면 길도 희미하고 잡목들이 있어 약간 까칠한 구간을 내려서고...
△ (09:11)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저산리 산단리를 잇는 2차선 도로인 신촌고개에 내려선다
인근에 신촌마을이 있으며 저산1구 표지석도 보인다
도로를 건너서 약간 절개지로 오르니 이동통신탑이 보이고 우측 산줄기 아래에는
많은 공장들이 나무 사이로 자리 잡고 있다...
△ 묘지를 지나 약간 까칠한 숲길을 벗어나니 다시 편안한 등로가 이어지고 있고...
△ 마봉산 갈림길에 도착하고 여기서 왕복 900m 떨어진 마봉산에 갔다 오기로 합니다
마봉산으로 이어지는 등로는 뚜렷하고 조금 오르니 우측으로 철망 울타리도 지나고...
△ (09:37) 백두사랑산악회 산패가 있는 x173.7(마봉산)에 올라 단체 사진 남긴다
조망은 트이지 않고 이제 왔던 길로 되돌아 갑니다
마지막 마봉산 오름에 잡목이 있지만 등로는 편안하게 이어진다...
△ 그물망 울타리가 있는 밭을 우측으로 빙 돌아서 내려서고...
△ (10:11)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당곡리 저산리를 잇는 2차선 도로인 당곡고개에 내려선다
인근에 당곡리가 있어 이름을 지워보고 밭으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오른다...
△ 우측으로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당곡리 방향 뷰도 펼쳐지고...
△ 묵은 밭을 지나서 거미줄이 많아서 오늘 얼굴에 많이 부딧쳐 따갑다...
△ (10:20) 이제 세종시로 넘어가고 세종시 연동면 응암리 노송리를 잇는 노송고개에 내려 선다
인근에 윗골 마을이 있고 하우스가 있는 곳으로 해서 묘지 방향으로 오른다...
△ 등로 아래 좌측에 납골당이 화려하고 역시 충청도 전라도쪽은 묘지에 많은 돈을 투자 하는것 같다
우리 지방에 이렇게 묘지가 조성 되어 있는 것을 보지 못했다...
△ (10:25) 약간의 무명봉에 오르고 지도상 x94.0봉이며 갈림길이다
가져온 띠지 하나 부착하고 지맥길은 우측으로 내려선다...
△ 이제 시멘트 도로를 만나서 좌측으로 내려서고 우측 논에는 벼가 누렇게 익어 가고...
△ 좌측에 높은정이 마을이 보이고 이제 우측 3시 방향으로 렌즈에 이물질이 묻어서
나중에 사진을 보니 뿌연 점이 생기고 말았다...
△ (10:36) 세종시 연동면 응암리 노송리를 잇는 샘재에 도착 합니다
응암2리 표지석이 있고 인근에 응암보건진료소에서 점심을 먹는다
오늘 차량 중간 기착지 배낭을 가볍게 하여 그래도 여기까지 수월하게 산행한 샘이다
주말이라 보건소는 쉬고 있어 입구 그늘아래에서 민생고를 해결한다...
△ 점심을 먹고 보건진료소 방향 도로를 따라서 저멀리 개집이 보이고 근처에 가니 사납게 짖어 댄다...
△ 언덕배기에 오르니 도로에 밤이 많이 떨어져 있어 한여사가 밤을 줏는다
옹벽에 올라 숲으로 들어가니 잡목 가시들이 자라고 있어 힘겹게 탈출한다
조금전 보건소에서 도로를 따를걸 후회도 해보고 이제 전지 가위를 다시 사용 한다
선답자들이 많이 가지 않는지 띠지들도 보이지 않는다
그래도 희미한 등로는 흔적을 말해 주듯 살아 있다...
△ (11:03) 세종시 연동면 응암리 노송리를 잇는 샘재에 도착하고 여기가 샘재 이다
고갯마루에서 좌측 밭으로 이어지는 그물망 울타리 방향으로 올라 절개지 숲으로 오른다...
△ (11:13) 작는 둔덕을 오르니 x92.4봉에 올라 아무런 표시가 없다
그래서 가져온 띠지 하나 부착 하고 내려서고 계속 고만 고만 산줄기는 이어지고...
△ (11:15) 세종시 연동면 응암리 내판리을 잇는 노곡고개에 내려서고 인근에 노곡마을이 있다
좌측으로 조금 지나서 이제 한동안 철망 울타리를 따라서 진행 한다
울타리 안에는 대한교과서가 자리 잡고 있다...
△ 노곡고개에서 처음에 등로는 좋지 않지만 어느 정도 진행 하지 그리 나쁘지는 않다
일부는 울타리 안으로 진행하고 안에도 나중에 공장 정문으로 나왔단다
계속 철망 울타리 근처 조금 벗어나기도 하면서 계속 이어진다...
△ 좌측으로 세종시 연동면 응암리 가마골 마을도 보이고...
△ 계속 철망 울타리를 끼고 우측 안은 대한교과서(주) 공장이고 대원들 안으로 진입하여
정문으로 나오니 그리 크게 간섭을 하지 않는다고 하며 아마 다수 선답자 들이 진입 할것 같다...
△ 여기도 호화 납골당이 보이고 규모가 상당하다...
△ 대한교과서 공장 정문을 지나 좌측에 공장지대 응암산업단지다...
△ 삼거리를 지나 좌측 도로로 우측에도 많은 공장들이 자리 잡고 있고 수청과선교도 지나고...
△ 다리 아래에는 경부선 철길이 보이고...
△ 삼거리 도로를 만나고 계속 도로를 따라서 진행하고...
△ 때마침 열차가 지나가고 정말 기차 여행도 오래전 일이다...
△ 용합 삼거리에서 우측 도로를 따라서 계속 도로를 따르는 곳이다...
△ 오룩스 앱을 따라가니 공장 안으로 들어가고 공장에 있는 분이 마침 이해를 해주어 지나간다
예전에 공장이 들어 서기 전에는 길이 있었다고 하네요...
△ 철망 울타리 높아서 여자 대우너들이 있어 볼트 하나 풀고 공간을 확보 하여 넘어 간다
그리고 나서 다시 원위치 하고 도로를 건너니 삼성전기세종 사업장 앞을 지나고...
△ 도로를 따르다가 삼거리 에서 우측으로 여기도 큰 공장들이 보이고...
△ (12:16) 세종시 연동면 다솜리 명학리를 잇는 윗덕고개에 도착 합니다
약간 다른 맥길로 간 대원들을 만나고 이제 넓은 도로에서 갑자기 좁아 진다...
△ 숲길로 오르니 희미하지만 조금 오르니 선답자 띠지도 보이고 흔적이 보인다
열매를 보니 돌배인데 크기가 눈깔사탕 만큼 작은 열매가 엄청 달려 있다
이렇게 작은 돌배 과일도 처음보니 신기 하기도 하고 해서 사진 한장 남긴다...
△ 큰 어려움없이 숨이 깔닥 할 만큼 둔덕을 오르고 산중에 호스도 보이고...
△ (12:35) 백두사랑산악회 산패가 있는 x148.9(출동산)에 오르고 사진 한장 남겨 본다
모두 모여서 쉬어서 가고 이제 제법 급 내리막이 이어지는 곳이다...
△ 세종시로 이어지는 새로운 도로가 뚫이고 아마 새로운 고속도로 건설 현장이다
지하로 건설하는 중이며 규모가 엄청 나고 출동산 아래로 터널이뚫여 있다...
△ 새로운 건물 공사중이고 절개지로 내려서고...
△ 도로를 만나서 무단 횡단하고 96번 국도이며 많은 차량들이 다닌다...
△ 도로를 건너서 우측으로 약간 돌아서 거대한 지하터널 공사중 고속도로 이다
외국인들이 많이 보이고 나중에 구조물 위에 흙을 덮을것 같다...
△ 절개지로 올라 좌측 능선을 따라서 진행하고 조금 진행하니 낮은 구릉지만 남아 있다...
△ (13:01) 지도상 x96.4봉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리고 넓은 공터로 변해 있다...
△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는 택시 개발 조성 중이다...
△ 도로에 내려서서 우측으로 지도상 없는 신설 도로이며 우측 앞에 보이는 곳으로 내려서야 된다
그러나 칡덩굴 잡풀들이 많아서 빙 돌아서서 내려서게 되었다...
△ 다시 택지 개발 지역으로 진행하고 저만치 힌점 자동차 주행등 불빛 우리 곁으로 온다
공사 관계자 한명이 내리더니 오지 못한다면서 되돌아 가라 하네요
위험하고 그러나 우리는 맥길을 타는 사람인데 오히려 맥길을 짧아 버린다고 원망을 한다
크게 싸우지 않고 해서 그냥 못 들은척 하면서 대원들이 지나가고 한동안 우리들을 쳐다 본다...
△ 공사중인 택지를 벗어나 숲속으로 들어 오니 제법 뚜렷한 등로를 만나다
한도의 한숨도 쉬고 모두 모여서 쉬어서 간다...
△ 약간의 잡목 구간도 지나니 이제 등로는 편안하게 약간의 둔덕도 오르고...
△ (13:58) 팔봉지맥 마지막 무명봉 x50.7봉에 올라 띠지 하나 부착 하고 내려선다
이제 등로에는 둥근 나무 계단도 보이고 약간의 내리막이 이어진다...
△ 수풀이 우겨진 곳을 지나 우측에 금강/미호천 표지석이 보이고...
△ 우측으로는 미호천 그너머 전월지맥 산줄기가 보이고...
미호천
길이 89.2㎞. 유역면적 1,860.9㎢. 부용산에서 발원하여 진천군·청주시 및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남서류하면서
모두 지방하천이나 소하천인 백곡천(柏谷川)·보광천(寶光川)·무심천(無心川)·천수천(天水川)·조천(鳥川) 등
지류를 합치고 부강(芙江) 서쪽에서 금강에 합류한다.
상류부의 진천과 음성 서부지역에 진천평야(진천분지)를, 중·하류부에는 조치원을 중심으로
부강·청주·증평 일대에 걸친 광대한 미호평야(일명 청주분지)를 형성한다.
1981년 미호천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이 완성되었고
미호천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 확장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대청댐의 물을 이용하여 금강 상류부인 미호천과 그 지류인
무심천·보광천 주변에 발달된 구릉지일대를 개발하여 관개·배수 개선과 개간·개답을 비롯하여
경지정리 등을 시행하여 대청댐의 농업용수 이용을 극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지역은 충청북도 최대의 농업지역으로 미곡 생산은 물론, 하천을 따라서 낙농업과 양잠업이 발달되어 있다.
△ (14:13) 드디어 금광/미호천이 만나는 합수점 데크가 있는 곳에서 팔봉지맥 3번으로 해서 완주한다
이름난 산도 없고 비산비야 그러나 산줄기는 끊어 질듯 이어져 있었고 그렇게 합수점으로 이어진다
잡목 가시들이 많아서 여름철엔 힘든 구간 올해 비가 많이 와서 그만큼 많이 자랐다
그래도 지나고 보면 추억이요 고생한 보람이 주마등 처럼 스쳐 간다
함께한 대원들 모두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단 오갑지맥에서 다시 만나요^)^...

△ 합수점에서 되돌아와 합강정에 올라 주위 조망도 느끼고...
△ 합강정에서 바라본 합수점 우측 미호천 좌측 금강...
△ 자전거 도로를 따라서...
△ 산행개념도...
△ 인근 구기자메밀칼국수 집에서 시원한 막국수 한그릇 전병 만두로 하산식을 먹고 팔봉지맥 졸업한다
오늘 여름이 아쉬운듯 더운 하루였지만 이제 선선한 가을을 생각 하면서 이번주 토욜 오갑지맥 원샷 합니다...
'(5)금북정맥산줄기지맥(12) > 팔봉지맥(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봉지맥2구간] 충북청주 (방고개~백산육교) 2021.08.28일산행 (0) | 2021.08.29 |
---|---|
[팔봉지맥1구간] 충북청주 (분기봉~방고개) 2021.08.21일산행 (0) | 2021.08.22 |
[팔봉지맥] 팔봉지맥이란??? (0) | 2021.08.11 |